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교수진

강창우 교수

전공독어학 (화용론, 독어사)
주소2동 420호
연락처(02) 880-6188
이메일kcu@snu.ac.kr

주요연구분야

독어학(화용론, 독어사)

최근의 연구 관심은 화용론과 텍스트언어학, 그리고 대화분석의 이론을 실제 의사소통에 적용하여, 한편으로는 이론을 검증하고 발전시키며, 다른 한편으로는 실제 의사소통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발견하고 분석하는 데 있다. 특히 의료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을 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의료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를 의료인들과 같이 다년간 수행하였다. 또한 질병을 체험한 환자나 환자 가족을 인터뷰하여 언어 연구를 위한 내러티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분석하여 질병 체험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일반인들에게 제공하는 다학제적 연구를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다.

학력

  • 독일 뮌스터대학교(Westfälische Wilhelms-Universität zu Münster) 독어독문학과 철학박사(1996)
  •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문학석사 (1986)
  •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문학사(1984)

경력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장 (2022-2024)
  • 서울대학교 장기발전계획위원회 멀티캠퍼스분과 위원장 (2021-2022)
  • 서울대학교 법인화 10주년 백서 편찬위원장 (2020-2021)
  •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환경문화복지위원회 간사 및 위원장 (2016-2020)
  • 서울대학교 기획부처장 (2014-2016)
  • 수도권대학 특성화사업단 “글로벌 리더 양성을 위한 신실크로드 사업단” 단장 (2014-2015)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제화지원센터 원장 (2011-2012)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학생부학장 (2008-2010)
  • 서울대학교 교수협의회 기획이사 (2007-2008)
  • 서울대학교 교수학습센터 교수법개발부장 (2001-2002)

     

  • 한국인문학총연합회 공동회장 (2025-2026)
  • 한국독어독문학회 회장 (2025-2026)
  • 한국인문사회총연합회 부회장 (2025)
  • 전국국ㆍ공립대학교 인문대학장협의회 회장 (2023-2024)
  • 한국독어학회 회장 (2022-2024)
  • Institut für Deutsche Sprache 국제학술위원회 위원 (2009-2020)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회장 (2017-2018)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회장 (2016-2017)

연구

저서

  • 『환자중심 의료커뮤니케이션 길라잡이』 (공저), TOILET PRESS, 2023.
  • 『당뇨를 이겨낸 사람들』 (공저), 한빛라이프, 2015.
  • 『위암을 이겨낸 사람들』 (공저), 한빛라이프, 2015.
  • 『유방암을 이겨낸 사람들』 (공저), 한빛라이프, 2015.
  • 『우울증을 이겨낸 사람들』 (공저), 한빛라이프, 2015.
  • 『치매와 함께하는 사람들』 (공저), 한빛라이프, 2015.
  • 『호스피스로 삶을 마무리하는 사람들』 (공저), 한빛라이프, 2015.
  • 『텍스트언어학의 이해』(공저), 박이정, 2004.
  • 『독일어의 구조와 의미』(공저), 역락, 2003.
  • 『Deutsche Sprache II. Lehrerhandbuch』(공저), 두산, 2003.
  • 『Deutsche Sprache II』(공저), 두산, 2003.
  • 『독일어 회화』1-4, 태성미디어, 2002.
  • 『Deutsche Sprache I. Lehrerhandbuch』(공저), 두산, 2002.
  • 『Deutsche Sprache I』(공저), 두산, 2002.
  • 『중학교 생활 독일어 교사 지도서』(공저), 교육부, 2001.
  • 『중학교 생활 독일어』(공저), 교육부, 2001.
  • 『독일어 회화』1권-4권, 홍익미디어, 1999.
  • Die sogenannten Kausalsätze des Deutschen: Eine Untersuchung erklärenden, begründenden, rechtfertigenden und argumentierenden Sprechens, Waxmann, 1996.

논문

  • “Zur absichtlichen Verletzung der Höflichkeitsnormen aus interkultureller Perspektive”,『독일어문화권연구』 26(2017), pp. 315-337.
  • 「거짓말에 대한 화행론적 고찰」, 『독어학』 30(2014), pp.1-19.
  • “Zu linguistischen Kriterien für die Evaluation der medizinischen Kommunikation,” Grammatik und sprachliches Handeln, ed. by Japanische Gesellschaft für Germanistik (2010), pp. 68-76.
  • 「발화수반력의 상대적 크기에 대한 화행론적 고찰」,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26(2010), pp. 5-30.
  • 「의료인과 만난 인문학 – 의료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학제적 연구」, 『스무살, 인문학을 만나다』(서울대학교 인문대학 편, 2010) pp. 227-244.
  • 「의료커뮤니케이션 수업을 위한 교육용 소프트웨어 도구의 개발」 (공저), 『의료커뮤니케이션』 5(2010), pp. 1-6.
  • 「세계화 시대에 독일어가 처한 정체성 위기」, 『독어학』 13(2007), pp. 23-46.
  • 「언어 표현과 발화 의도의 상관관계」, 『인문논총』 57(2007), pp. 183-209.
  • 「간접화행의 형태와 기능에 대한 대조언어학적 연구. 한국어, 독일어, 영어를 중심으로」, 『독어학』12(2006), pp. 235-259.
  • 「통사적 단위와 의사소통 단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독어학』 11(2005), pp. 47-70.
  • 「화행 유형의 하위분류 가능성과 그 문제점」, 『독어학』 10(2004), pp. 195-215.
  • “Deutschkurse in Hörfunk und Fernsehen,” Die deutsche Sprache in Korea. Geschichte und Gegenwart, ed. by Ulrich Ammon/Si-Ho Chong (2003), pp. 285-296.
  • 「화행의 하위 분류 가능성에 대한 고찰. ‘이유 말하기’를 중심으로」, 『독어학』 8(2002), pp. 203-221.
  • “Zur illokutionären (Un-)Selbständigkeit der weil-Sätze und deren Wort-stellung,” Lingua et Linguae. Festschrift für Clemens-Peter Herbermann zum 60., ed. by U. H. Waßner (2001), pp. 275-286.
  • 「독일의 계량언어학」, 『계량언어학』 1(2001), pp. 225-236.
  • 「독일어 조건문의 유형과 의사소통 기능」(공저), 『독어학』 7(2001), pp. 129-153.
  • 「현대 독일어 인과문에 있어서의 주문장 어순 경향에 대하여」, 『독일문학』 80(2001), pp. 310-327.
  • 「인과문과 상관문의 의미 관계」, 『독일문학』 65(1998), pp. 375-397.
  • 「독어독문학과에서의 독일학 수용 문제와 그 방향」, 『독일어문화권연구』 7(1998), pp. 328-340.
  • 「화행과 언어적 단위의 관계에 대하여」, 『텍스트언어학』 4(1997), pp. 63-88.
  • “Illokutionshierarchie im argumentativen Dialog” (공저), Münstersches Logbuch für Linguistik 2/1992, pp. 71-85.

연구보고서

  •  『핵심역량 교육을 위한 서울대 기초교양교과목의 개편 방향에 대한 연구』 (연구책임자), 2022.
  • 「지속가능한 미래지향적 멀티캠퍼스 구축」 (분과위원장), 『서울대학교 2040 장기발전계획서』, 2022.
  • 『서울대학교 법인화 10주년 백서』 (편찬위원장), 2021.
  • 『서울대학교 국고출연금의 적정 규모에 대한 연구』 (연구책임자), 2020.
  • 『시흥캠퍼스 교육 프로그램 수립 관련 연구』 (연구책임자), 2019.
  • 『멀티캠퍼스 시대의 과제와 대응 방안』 (연구책임자), 2019.
  • 『인문사회통일평화 프로그램 연구』 (연구책임자), 2018.
  • 「서울대학교의 당면 과제와 발전 방향」 (연구책임자), 『서울대학교의 시대적 소명과 발전 방안』, 2018.
  • 『인문대학 어문계열 학과 전공교육 국제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