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연구분야
독일 사실주의문학, 이민문학, 독일 문화학
사실주의 이후의 독일 현대소설과 동시대 이민문학, 비교문학 등에 관한 논문들을 다수 발표하였으며 문화학 연구방법론에 관심이 많다.
학력
- 본대학(Rheinische Friedrich-Wilhelms-Universität, Bonn) 독문학 박사(1993)
-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문학석사(1989)
-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문학사(1987)
경력
- Zeitschrift für internationale Germanistik (A&HCI 저널) 공동편집위원
- 독일 마르바흐문학아카이브 학술위원(2024-2028)
- 독일 알렉산더폰훔볼트 재단 Vertrauenswissenschaftler(2025-)
- 기초교육원 부원장, 원장(2021-2024)
- 한국독어독문학회 부회장(2018-2019)
- 한국헤세학회장(2017-2018)
- 독어독문학과장(2012-14. 2024-)
- 한독문학번역연구소장(2017-)
- 세계독어독문학자대회 국제분과위원(2015-2025)
- 독일어문화권연구소장(2014-2016)
- Research Ambassador(DAAD, 2014-)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학생부학장(2010-2012)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학생생활문화원 원장(2008-2010)
- Humboldt Fellow(2006)
- 본교 부임(2003)
연구
저서
- 『엑소포니. 다와다 요코의 글쓰기』, J&C, 2020
- 『민족의 통일과 다문화사회의 갈등』,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6.
- 『서울의 인문학』(16인 공저), 창비, 2016.
- 『독일, 민족, 신화』(4인 공저), 서울대학교 출문화원, 2015.
- 『카프카, 유대인, 몸』, 민음사, 2012.
- 『토마스 만. 전설의 스토리텔러』(13인 공저), 서울대학교출판부, 2011.
- 『서양문화를 쓴다. 강용흘의 <동양 서양에 가다>와 이미륵의 <그래도 압록강은 흐른다> 비교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9.
- 『자본주의 사회와 인간욕망 – 서구 리얼리즘 문학의 현재성』(17인 공저), 문학동네, 2007.
- 『한국문화를 쓴다. 강용흘의 <초당>과 이미륵의 <압록강은 흐른다>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 『독일이야기 1, 독일어권 유럽의 역사와 문화』(7인 공저), 거름, 2000.
- 『독일이야기 2, 통일독일의 사회와 현실』(7인 공저), 거름, 2000.
- Verschwiegene und schweigende Individuen im realistischen Roman. Eine Untersuchung zum Grünen Heinrich und zur Effi Briest, Literatur in der Diskussion, Bd. 1, Pfaffenweiler: Centaurus-Verlag, 1996.
역서
- 다와다 요코, 『눈 속의 에튜드』, 현대문학, 2020.
- 테레지아 모라, 『이상한 물질』, 을유문화사, 2018.
- 입케 박스무트, 『커뮤니케이션』(2인 공역),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4.
- 다와다 요코, 『목욕탕』, 을유문화사, 2011. (개정판) 책읽는 수요일, 2023
- 다와다 요코, 『영혼 없는 작가』, 을유문화사, 2011.
- 알라이다 아스만 외 9인 공저, 『문학과 문화학』(9인 공역), 한울, 2008.
- 리하르트 반 뒬멘, 『개인의 발견』, 현실문화연구, 2005.
- 『에다. 게르만 민족의 신화, 영웅전설, 생활의 지혜』(3인 공역),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개정판) 2025.
논문
- 「북유럽 신화 다시 읽기 – 여성 인물 프리그, 프레이야와 스카디의 해석을 중심으로」, 『독일언어문학』106(2024), pp.67-89.
- 「북유럽 신화의 ‘거인’ 이야기 다시 읽기」, 『독어독문학』65/4(2024), pp.5-32.
- 「폭역사적 사건, 기억 그리고 소설 – 보슈비츠의 『여행자 Der Reisende』에 나타난 ‘수정의 밤’ 서술 분석」, 『독어독문학』65/35(2024), pp.161-188.
- 「폭력과 전도의 구조 속에 그려진 독일-현대-동화. 영화『핀스터월드』의 분석을 중심으로」, 『인문논총』71(2024), pp.161-190.
- 「‘동독 여성 Ostfrauen’, 신화인가? 현실인가? – MDR 3부작 <동독 여성>과 『동독 여성이 독일을 바꾼다』분석을 중심으로」, 『독일어문화권연구』32(2023), pp.53-76.
- 「북한의 독일 문학 번역: 쉴러의 「빌헬름 텔」을 중심으로」, 『통일과평화』15(2023), pp.179-218.
- 「텍스트의 반복적 투영 다와다 요코의 <눈 속의 에튀드> 읽기와 재읽기」, 『비교한국학』71(2023), pp.57-88.
- “Übersetzungskritik als eine Form der Literaturkritik -Im koreanischen Kontext betrachtet”, Zeitschrift für deutschsprachige Kultur und Litieraturen, Vol. 31(2022), pp. 285-308.
- “Auseinanderfummeln vs. Textilweben. Monika Schmitz-Emans liest Yoko Tawada”, Ch, Bachmann et. al.(Hrsg.), MSE-ABC Lektüren und Begegnungen (2022), Christian A, Bachmannverlag, 178-180.
- “Gewalt in der Literatur. Anna Kims Texte”, Zeitschrift für internationale Germanistik (2022), 343-352.
- 「작은 역사 속에 각인된 큰 역사 – 영화 <케이크메이커> 속의 음식, 사랑, 환대의 양상 분석」, 『독어독문학』63(2022), pp. 389-410.
- 「인종의 가시성과 고독 – 안나 김의 『어느 아이 이야기』 분석을 중심으로」, 『독어독문학』63(2022), pp.245-273.
- “Wissen und Wissenschaft im Zeichen von Moderne und Nation”, Maeda, Ryozo et al. (Hrsg.), Wissen über Wissenschaft.(2021), Tübingen: Stauffenburg, pp. 37-53.
- 「이주와 젠더 그리고 서사 ― 영화 <국제시장>과 <그리움의 종착역> 비교분석」, 『인문논총』78(2023), pp. 399-433.
- 「삶의 서사로서의 치매 서사」, 『헤세연구』43(2020), pp.113-135.
- “Offen, kreativ und kollaborativ, dazu noch kritisch? Zwei koreanische Beispiele von ‚Digital Humanities‘”, Jahrbuch für Internationale Germanistik, Jg. LII – Heft 1,(2020) pp. 91–98.
- 「치매 영화와 ‘계몽’의 내러티브 – 한국, 독일, 미국의 영화 비교분석」, 『독어독문학』61(2020), pp. 93-115.
- 「‘장소’에서 ‘공간’으로 – 조성형의 고향영화 삼부작」, 『독일어문학』88(2022), pp.31-52.
- “Aufbruch zur Moderne. Die Entdeckung der Kindheit im Korea der 1920er Jahre und Bang Jeong-hwans Märchenübersetzungen”, Literaturstraße 20: Chinesisch-deutsche Zeitschrift für Sprach- und Literaturwisenschaft, Bd.20(2019), Heft 1, pp. 61-76. G.
- “Körper als Raum für ausschliessende und einschliessende Identifizierungspraktiken. Rimini Protokolls Black Tie”, Einheit in der Vielfalt : Germanistik ziwschen Divergenz und Konvergenz, Y, Muroi et. al. (Hrsg.) (2020), München: iudicium, 266-273.
- 「‘Yoko Tawadas Etüden im Schnee. Eine postkoloniale Lektüre」, 『독일어문화권연구』28(2019), pp.569-590.
- “Vater und Sohn in der Fremde. Eine vergleichende Studie zu Akins Filmen Gegen die Wandund Auf der anderen Seite”, Jahrbuch für internationale GermanistiReihe A 82 (IVG, 2018), pp. 297-301.
- 「월경자의 ‘나’와 ‘너’: 다와다 요코 작품에 나타난 인칭대명사와 자아의 문제」, 『횡단인문학』75(2019), pp. 309-341.
- 「치매소설에 나타난 ‘근대적 개인’의 위기와 서술적 정체성인」, 『인문논총』73(2018), pp.245-273.
- 「다른 ‘액체근대’ – 테레지아 모라의『이상한 물질』에 나타난 변방의 풍경과 이방인들」, 『헤세연구』39(2018), pp. 145-169.
- “Text als kolletives Ereignis”, Text als Ereignis, hrsg/ v. Eckel, Winfried / Lindemann, Uwe, Spectrum Literaturwissenschaft 57(2017), München: De Gruyter, pp. 329-342.
- 「독일 한인2세들의 정체성과 인종적 제노포비아 문제 – 마르틴 현의 두 텍스트 예 분석」, 『인문논총』74(2017), pp.369-401.
- 「『숨그네』에 나타난 이중의 수용소와 글쓰기」, 『독일어문화권연구』25(2016), pp. 147-170.
- 「다와다 요코의 탈경계적, 탈민족적, 탈문화적 글쓰기」, 『일본연구』37(2015), pp.328-355.
- 「인종의 가시성과 소속성. 유대인 동화와 패싱을 중심으로」, 『독일어문화권연구』23(2014), pp. 183-214.
- 「폭력과 전도의 구조 속에 그려진 독일-현대-동화. 영화『핀스터월드』의 분석을 중심으로」, 『인문논총』71(2014), pp.161-190.
- 「위험한 삼중주. 레싱의 <나탄현자>와 세노작의 <위험한 친족성>」, 『이중언어작가』, 책과함께, 2014, pp. 87-120.
- 「’인간의 조건’ 그리고 이야기하기. 프레트 반더의『일곱 번째 우물』을 중심으로」, 『독일문학』54(2013), pp. 303-327.
- 「초국적 이방인의 보호받지 못한 삶과 죽음. 나치 수용소 유대인 생존자의 글을 중심으로」, 『탈경계인문학』15(2013), pp. 29-58.
- “Interkulturelles Lernen anhand der Migrationsliteratur,” Hochschulischer Sprachunterricht 1 (2012), pp. 311-320.
- “Zwei Orientalismen. Ein Vergleich von Hauffs Alemanach, Die Karawane und Schamis Roman Der ehrliche Lügner, Roman von Tausendundeiner Lüge,” Transkulturalität (2012), pp. 350-357.
- 「두 싯다르타, 헤세의 변형과 깨달음의 의미」, 『헤세연구』27(2012), pp. 29-59.
- 「National? Transnational oder transterritorial? Berlinbilder in koreanischen Romanen」, 『독일어문화권연구』20(2011), pp. 295-319.
- 헤르타 뮐러,「이발사, 머리카락 그리고 왕」(번역), 『비교문학』 53(2011), pp. 457-477.
- “Metamorphosen, Hybridität und mythisches Denken bei Yoko Tawada,” Schauplatz der Verwandungen, ed. Kazuhiko Tamura (München: Iudicium, 2011), pp. 134-150.
- 「’뿌리 찾기’ 내러티브와 퍼즐정체성. 아넬리 슁켈의 “비단딸”과 미리암 영 민 슈타인의 “서울 베를린 서울” 비교 분석」, 『독일학연구』 26(2010), pp. 249-272.
- 「풍크툼, 기억 그리고 개인의 정체성. 제발트의 “아우스터리츠” 분석을 중심으로」, 『독일어문화권연구』 19(2010), pp. 10 3-129.
- “Übersetzung der Wörtlichkeit. Einige Probleme der Übersetzung und des Schreibens bei Tawada,” Études Germaniques N°3 (2010), pp. 511-524.
- “Grimms Märchen in Korea.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r Sneewittchen-Rezeption,” Hessische Blätter für Volks- und Kulturforschung 44/45 (2009), pp. 465-473.
- “Fridolins Odyssee in der modernen Stadt. Raumdarstellung und Raumwahrnehmunng der Jahrhundertwende anhand von Schnitzlers Traumnovelle,” 『독일문학』 110(2009), pp. 144-160.
- 「이민, 젠더, 글쓰기: 외즈다마 논쟁을 중심으로」, 『유럽사회문화』 2(2009), pp. 5-34.
- 「현대의 이야기, 이야기꾼, 그리고 거짓말의 문제. 라픽 샤미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독일언어문학』 40(2008), pp. 233-254.
- 「독일문학에 나타난 다문화사회. 스텐 나돌니의 “젤림 혹은 웅변의 재능” 을 중심으로」, 『인문논총』 59(2008), pp. 59-87.
- “Raum und Identität in der Literatur der zweiten Migratengeneration – Fatih Akins Film Gegen die Wand und Jade Karas Roman Selam Berlin,” 『독일문학』 108(2008), pp. 278-301.
- “Das koreanische Bild der Emigranten im Wandel,” 『독일어문화권 연구』 17(2008), pp. 305-323.
- 「낯섬, 향수, 소외, 차별」, 『독일문학』 102(2007), pp. 151-170.
- “Der bequeme Fremde. Özdamars Texte aus der doppelt fremden Perspektive des ausländischen Lesers,” Jahrbuch für internationale Germanistik. Reihe A 82 (IVG, 2007), pp. 154-160,
- 「이산, 동화, 기억: 독일어권의 유대인 이산을 중심으로」, 『문학판』 18(2006), pp. 188-201.
- 「독일이민문학의 현주소」, 『독어교육』 35(2006), pp. 425-444.
- 「낯선 자의 시선. 외즈다마의 작품에 나타난 이방성과 다문화성의 문제」, 『독일어문학』 33(2006), pp. 77-102.
- “Mythenanalyse und Computerspiele. Ein Beispiel für angewandte Philologie,” DAAD-Dokumentationsband, ed. DAAD (Bonn: DAAD, 2006), pp. 139-148.
- 「매체로서의 언어, 매체로서의 몸. 요코 타바다의 “목욕탕”과 “벌거벗은 눈”을 중심으로」, 『독일문학』 99(2006), pp. 86-106.
- 「독어독문학과 상호문화성 교육 – 블라디미르 카미너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독어교육』 36(2006), pp. 393-417.
- “Phänomene und Bedeutungen des Schweigens für das buddhistische Ritual. Der Film warum Bodhi Darma in den Orient aufbrach und das Vimalakirti Sutra,” Rituale des Verstehens – Verstehen der Rituale, ed. Japanische Gesellschaft für Germanistik (München: Iudicium, 2006), pp. 57-64,
- 「독어독문학의 시작과 정착. 19세기 독어독문학에 대한 고찰」, 『독일어문학』 35(2006), pp. 313-338.
- 「미국의 독일어권연구 현황과 사례연구」, 『독일어문화권 연구』 14(2005), pp. 171-194.
- 「문화차이와 번역. 토마스 만의 “베니스에서의 죽음”의 한국어 번역에 나타난 동성애」, 『동서문화』36(2004), pp. 25-44.
- “Autobiographie als Ethnographie. Eine vergleichende Untersuchung zu the Grass Roof von Younghill Kang und zu Der Yalu fliesst,” 『독일문학』 90(2004), pp. 419-436.
- “Konstruktion des Judenkörpers. Assimilation und jüdische Identität im Jud Süß,” 『독일문학』82(2002), pp. 158-175.
- 「문화수용과 문화전이로서의 번역」, 『독일언어문학』 18(2002), pp. 259-299.
- 「근대에 대한 비판으로서의 미적 현대. 클림트의 학부회화 논쟁을 중심으로」, 『비교문학』 26(2001), pp. 79-106.
- 「문화연구와 이방인. 대표적 타자를 중심으로」, 『비교문학』 27(2001), pp. 29-54.
- “Theodor Fontane als Zeitgenosse der Moderne,” Fontane-Blätter 70 (Fontane Gesellschaft, 2000), pp. 93-107.
- 「허구, 현실, 가능성. “내 이름을 간텐바인이라 하자”를 중심으로」, 『독일문학』 74(2000), pp. 292-318.
- 「폰타네의 소설 슈테힐린 호수 분석.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문제」, 『독일언어문학』 10(1998), pp. 313-334.
- “Leben gegen Bild. Melusines Schwestern in den Fontaneschen Romanen,” 『독일문학』 68(1998), pp. 136-152.
- 「독일학 및 관련 학문의 사례분석」, 『독일학연구』 7(1997), pp. 85-101.